본문 바로가기

┗◈ 컴퓨터의 정보

꼭 필요한 드라이버 설정 방법 (2)

꼭 필요한 드라이버 설정 방법

사운드 출력
PC를 구성하는 부품 중 예전과 가장 달라진 점을 찾으라면 사운드 카드일 것입니다. 별도로 구입해야 했던 사운드 카드는 이제 거의 모든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별도로 사운드 카드를 구입하는 사용자도 상당히 줄었습니다. 메인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카드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도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내장된 사운드 카드용 드라이버는 대부분 메인보드에 딸려온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의 드라이버를 원한다면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5.1채널을 사용하거나 외부 디지털 출력 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드라이버에서 설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 별도의 사운드 카드를 설치하였다면 역시 제작사의 웹 사이트에서 드라이버 및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 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사운드 카드를 구입하였거나 메인보드에 사용한 칩셋이 별도의 사운드 칩셋을 사용한다면 사운드 카드나 메인보드에 있는 사운드 칩셋의 모델명을 알아야 합니다. 모델명에 해당하는 드라이버를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메인보드에서 사운드 카드 칩셋을 찾기 어렵다면 매뉴얼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메인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칩셋은 별도의 사운드 칩셋을 사용하는 일이 많지 않습니다. 사운드 카드의 드라이버는 사운드 칩셋을 만든 제조사 웹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ForteMedia의 사운드 칩셋은 제조사에서 드라이버 파일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사운드 카드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거나 드라이브를 구하기 어렵다면 같은 칩셋을 사용한 타사의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도 됩니다.


별도의 사운드 카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C-MEDIA 사운드 칩셋 드라이브 다운로드 경로 :

www.cmedia.com.tw

▶ 채널 사운드의 설정
사운드 카드를 설치하는 과정 중에는 소리의 출력을 위한 드라이브 뿐 아니라 다른 부가기능의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의 칩셋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대부분 윈도우 하단의 작업 표시줄 오른쪽에 나타나는 조그만 아이콘의 형태나 제어판의 사운드 관련 항목에 새롭게 추가됩니다. 설치된 설정 프로그램의 기능은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5.1채널과 디지털 출력의 항목입니다. 모든 사운드 카드에 이러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근래에 출시된 메인보드나 사운드 카드는 거의 지원합니다. 만약 전용 디코더를 사용한 앰프나 스피커 시스템에 연결한다면 5.1채널의 설정 없이 디지털 출력만 설정하면 소리를 5.1채널로 만드는 작업은 앰프나 스피커가 처리하게 됩니다.


단순히 소리를 크게 만드는 증폭기능만 갖춘 스피커라면 별도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운드 카드에 직접 연결해 주어야 하며 5.1채널의 출력을 위한 별도의 세팅이 필요합니다. 만약 메인보드의 내장된 사운드 카드가 5.1채널을 지원한다면 세 개의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한데 마이크나 라인인의 기능을 하는 커넥터의 기능을 리어(후방스피커)와 센터 및 우퍼의 출력을 하는 단자로 기능이 전환되어야 하며 그 설정을 사운드 카드의 드라이브를 설치할 때 포함된 프로그램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운드 카드의 종류에 따라 그 방법은 다르기에 자신의 메인보드의 매뉴얼을 살펴보거나 제어판에 사운드 관련 아이콘이 있는지 찾아본 뒤 이를 실행해서 설정을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드라이버를 제대로 설치했음에도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믹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거나 스피커의 케이블 및 앰프의 전원을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물론 케이블이 잘못 꽂혀 있어도 소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1 믹서를 확인하는 방법은 작업 표시 줄의 아이콘 중 볼륨을 더블클릭합니다.

2 믹서가 나타나면 Play Control이나 WAV/MP3 등의 항목의 볼륨 게이지가 낮지 않은지와 음소거의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인터넷과 네트워크 연결하기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합??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에 성공했다면 이 과정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어딘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초고속 통신을 사용한다면 이 과정이 어려우면 전화로 고객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고속 통신 서비스 업체
하나로통신 :
www.hanafos.com - 전화번호 106
한국통신 :
www.meagapass.net - 전화번호 110
두루넷 :
www.thrunet.com - 전화번호 1588-3488

전용선
전용선을 사용한다면 먼저 백업할 때 메모해둔 네트워크 설정값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 값을 설정해 줍니다. 설정 상태를 모르거나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전산 관리자를 찾으세요.

1 [시작] 버튼을 누르고 제어판의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합니다.

2 ‘로컬영역 연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3 ‘이 연결에 다음 항목을 사용’의 내용 중 ‘인터넷 프로트콜(TCP/IP)’를 선택하고 [속성]을 누릅니다.

4 ‘다음 IP 주? 입력합니다. DNS가 있으면 DNS도 입력합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5 제대로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로컬 영역 연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상태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지원 탭을 누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케이블 모뎀
케이블 모뎀이라면 특별한 설정은 필요 없습니다. 대부분은 연결 즉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제어판의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하고 그 중 로컬 영역 연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상태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지원 탭을 누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보입니다. 하단에 복구라는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을 누르면 다시 케이블 모뎀을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합니다. 만약 그래도 인터넷이 안 된다면 케이블 모뎀을 살펴봅니다. 램프에 불이 제대로 들어왔는지 유심히 봅니다.


PC라고 적혀 있는 곳에 불이 안 들어 왔다면 대부분 LAN 케이블이나 LAN 카드에 문제가 있는 것 입니다. 하지만 다른 램프도 아예 꺼져 있다면 케이블 모뎀이 불량이거나 외부선로의 이상 또는 초고속 통신 회사에서 공사중입니다. 이때는 초고속 통신 서비스 회사에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불이 모두 제대로 들어 왔는데도 안 될 때도 있는데 대부분 메인보드를 새로 구입했을 경우 이런 문제가 생깁니다. 이때는 케이블 모뎀을 잠시 꺼놓았다가 다시 켜고 나서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보고 하단의 복구 버튼을 눌러 갱신을 하면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ADSL
ADSL이라고 해도 윈도우 XP에서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98이나 Me에서는 연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윈도우 XP를 설치하는 과정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다면 별도의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물론 공유기를 통해서 사용한다면 이런 설정 없이 공유기에 입력된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케이블 모뎀처럼 전혀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1 [시작] 버튼을 누르고 제어판의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합니다. 왼쪽의 네트워크 작업 메뉴 중 ‘새 연결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2 ‘새 연결 마법사’가 나타나면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3 ‘네트워크 연결 형식’에서 ‘인터넷 연결’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릅니다.

4 ‘준비하는 중’에서 ‘연결을 수동으로 설정’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5 ‘인터넷 연결’에서 ‘사용자 이름 및 암호를 필요로 하는 광대역 연결을 사용해 연결’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릅니다.

6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7이름과 암호, 암호 확인을 입력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PC라면 하단의 ‘아무 사용자나 이 컴퓨터에서 인터넷으로 연결할 때 이 계정 이름 및 암호 사용’을 선택합니다. 방화벽 설정 항목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설정 후 [다음]을 누릅니다.


8 설정 과정을 확인합니다. 확인 후 [마침]을 누릅니다.


9 설정 후 연결 창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암호를 입력한 뒤 연결을 누르면 접속이 됩니다. 또한 이후 연결하고자 한다면 제어판의 네트워크 연결에서 광대역 연결을 선택하면 인터넷에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네스팟과 무선랜
노트북에서처럼 무선 네트워크를 하기 위해서는 내장된 무선 LAN 카드의 드라이브가 제대로 잡혀 있어야 합니다. 센트리노 계열의 무선 LAN 카드라면 대부분 인텔 칩셋 업데이트만으로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잡힙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제품이거나 별도의 PCMCIA 슬롯을 이용해 무선 LAN을 추가했다면 별도의 드라이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무선 LAN은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설치한 환경이라면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것만으로 쉽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회사와 같은 장소에 설치된 무선 LA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증 과정이 필요하기에 설정을 해야 합니다. 설정 과정은 무선 네트워크의 인증에 따라 다르기에 회사 내의 네트워크 관리자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네스팟을 사용하기 위해서도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의 인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먼저 윈도우에서의 몇 가지 설정 후 접속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네스팟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킨토시와 같은 비 윈도우 계열에서는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사용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네스팟 웹 사이트에서 자신의 노트북의 MAC 어드레스를 입력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방법은 세팅된 노트북이 사용 중이지 않을 때에는 다른 노트북이나 PDA 등에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데 비해 MAC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아도 설정한 노트북 이외에 다른 컴퓨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대신 접속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언제든 PC만 켜면 마치 케이블 모뎀이나 LAN을 사용하듯 쓸 수 있습니다.

▶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방법
1 네스팟에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의 SSID와 DHCP라는 네트워크의 설정이 미리 되어 있어야 합니다. 먼저 SSID의 설정을 합니다.


2 네스팟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DNS 서버의 주소를 자동으로 받아야 합니다.


[윈도우 XP] : 제어판의 네트워크 환경을 실행합니다. 목록에 나타나는 항목 중 무선 LAN 카드의 연결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목록에 나타나는 항목 중 ‘인터넷 프로트콜(TCP/IP)’을 선택하고 속성을 누릅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정보에서 ‘자동으로 IP주소 받기’와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 탭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다시 무선 LAN 카드의 연결의 등록정보에서 인증 탭을 선택하고 ‘이 네트워크에서 IEEE 802.1x 인증 사용’의 체크 박스를 끄고 [확인]을 눌sans-serif>


[윈도우 98/Me]: 바탕 화면의 ‘네트워크 환경’에 마우스를 클릭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메뉴 중 등록 정보를 선택합니다. 목록에서 해당 무선 LAN 카드의 TCP/IP 항목을 선택하고 등록 정보를 누릅니다. IP 주소와 DNS 구성 탭을 선택하고 ‘자동으로 IP 주소 지정’과 ‘DNS 사용 안함’을 설정한 뒤 [확인]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3 네스팟 사이트에 접속해서 ‘네스팟 가이드’ 메뉴의 ‘프로그램 다운’에서 원하는 OS를 선택한 다음 접속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4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설치 후에는 재부팅이 필요합니다.

5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재부팅을 하면 트레이와 바탕 화면에 KT NESPOT CM이라는 아이콘이 생깁니다.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접속 프로그램이 뜨게 되며 네스팟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연결을 누르면 네스팟에 연결됩니다.

6 윈도우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한다면 접속 관리자에서 고급 기능을 누른 다음 환경 설정에서 ‘Windows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을 체크하면 됩니다. 또한 접속 상태나 접속 시간을 보고자 한다면 연결 정보 탭을 누르면 알 수 있습니다.

▶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방법

1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노트북 LAN 카드의 맥 어드레스를 알아야 합니다. 맥 어드레스는 노트북의 뒷부분이나 LAN 카?? 카드 위의 스티커나 네트워크 설정 창에서 맥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네스팟 웹 사?니?를 선택합니다.

3 맥 어드레스 인증을 하기위해서는 네스팟 사이트에 로그인해야 합니다. 네스팟 가입시 사용한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로그인을 합니다.

4 로그인 후 왼쪽 메뉴 중에서 인증 방식 변경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MAC ID에 노트북 LAN 카드의 맥 어드레스를 입력합니다. 입력시 절대로 대소문자를 가려서 입력해야 하며 모두 붙여서 써야 합니다. 입력 후 [확인]을 누르면 맥 어드레스 인증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프린터를 공유하고자 한다면!

네트워크 프린터라면 다른 설치 과정이 필요하겠지만 PC에 연결해 사용하는 로컬 프린터는 연결된 PC가 켜져 있는 한 다른 PC에서 사용할 수 있습터 공유가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린터 공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합니다.

1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치가 끝났으면 [시작] 버튼을 누르고 ‘프린터 및 팩스’를 선택합니다.

2 설치된 프린터 목록 중 공유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 중 공유를 선택합니다.

3 공유 탭에서 ‘이 프린터 공유’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공유 이름에 프린터의 이름을 지어줍니다. 프린터의 이름은 누구의 소속인지 어떠한 제품인지를 분명하게 나타내야 다른 사용자들이 프린터를 쉽게 찾아서 공유할 수 있습니다.

4 하단의 추가 드라이버를 선택하면 윈도우 XP이외의 OS를 사용하는 PC에서도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설정 후 [확인]을 눌러 모든 창을 닫아 줍니다.

다른 주변기기의 드라이버 설치
윈도우에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아예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있는데 앞서 나왔던 그래픽 카드나 메인보드가 바로설치 프로그램 없이 드라이버를 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윈도우가 새로 설치되면 연결된 수많은 하드웨어를 인식하게 됩니다. 인식 후에는 플러그 앤 플레이에 의해 하드웨어에 맞는 드라이버를 찾게 됩니다. 이때 파일 형태로 된 드라이버가 필요하게 됩니다.


드라이버 파일은 실행 파일이 아닌 INF나 DLL, VXD, WDM 등의 확장자가 끝에 붙어 있습니다. 단순히 이들 파일을 새 하드웨어 발견 메시지가 나올 때 해당 드라이버가 있는 디스크나 CD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만으로 설치가 됩니다. 드라이버 파일은 대부분 압축 파일로 제공되기에 압축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를 만들어 그곳에 풀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물론 하드웨어의 설치가 끝났다면 드라이브 파일과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을 지워야 합니다.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제품도 있습니다. 반드시 드라이버 설치 이후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하드웨어 종류에 따라 설치 방법은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 설치 프로그램을 갖춘 하드웨어
그래픽 카드, 메인보드, 별도로 설치하는 사운드 카드


▶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랜카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메모리 카드 리더기

▶ 드라이버 설치 이후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하드웨어
프린터,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화상 카메라

1 새로 확장 카드나 USB 장비를 설치하면 새로운 하드웨어를 발견하였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2 윈도우 XP에 내장된 드라이버 중 해당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드라이버가 있다면 특별한 질문 없이 바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하드웨어 드라이버 등이 포함된 CD나 디스켓을 넣고 ‘소프트웨어 자동으로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3 윈도우는 CD나 디스켓의 디렉토리를 검색해 드라이버를 찾게 됩니다. 하지만 찾지 못했거나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 시작’에서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고급)를 선택하면 드라이버의 위치를 묻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때 ‘검색할 때 다음 위치 포함’을 선택하고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다른 드라이버나 디스켓에서 드라이버의 위치를 알려 줍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릅니다. 자동으로 CD나 디스켓에서 찾기를 선택하면 가끔 엉뚱한 드라이버를 찾을 때도 있습니다. 이것은 드라이버 CD 내에 윈도우 XP 이외에 2000이나 다른 여러 개의 드라이버가 있을 때인데 이때는 목록을 보여주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지만 어떤 것이 맞는지 이름만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드라이버를 설치할 때는 자동보다는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고급)’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에서 ‘검색 안 함, 설치할 드라이버를 직접 선택’을 누르면 목록에 있는 드라이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주로 구동 드라이버를 이미 설치한 상태에서 윈도우가 드라이버를 못 찾거나 여러 개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못 인식 되었을 때 하드웨어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해줄 때에도 사용됩니다.

5 드라이버를 찾게 되면 새 하드웨어를 찾았다는 메시지와 함께 호환성 테스트에 대한 확인이 나타납니다. 호환성 테스트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에서 좀더 안정적인 동작알려주는 척도이지만 호환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않았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확인]을 눌러 줍니다. 이런 경고 메시지는 의외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호환성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유는 테스트에 들어가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업체들이 기피하기 때문입니다.

6 드라이버 파일을 복사합니다. 도중 드라이버 파일이 없다고 경로를 물어보는 일이 있는데 CD나 디스켓에 있는 파일의 경로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한번 설치한 드라이버라면 하드디스크의 윈도우가 설치된 디렉토리를 찾아서 해당 파일을 지정해도 상관없습니다.

7 복사가 끝나고 제대로 설치가 되었으면 새 하드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출처 : Tong - 아침마을님의 ◇컴퓨터와 친해지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