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지표 분석기법 2
신이 우주의 만물과 인간을 창조 하고 일요일을 안식일로 정했듯이 사람의 정신적, 육체적 리듬(Cycle) 역시 휴식이란 것이 필요 한가 봅니다.
주식투자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요구되는 고도의 집중력과 긴장, 장에 움직임에 따라 환희와 절망이 교차되며 투자자는 몸과 마음이 지쳐가게 됩니다.
계속적으로 성공적인 투자를 하던 사람도 한번 리듬이 깨지면 상당기간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때가 바로 휴식이 필요한 순간입니다.
투자를 할 때와 쉴 때를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최상의 감각을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스토케스틱(stochastics)' 과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의 ’보조지표 분석기법‘에 이어 또 다른 보조지표 분석기법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CCI(Commodity Channel Index) 분석기법 **
(1) 개념:
‘CCI'는 당일의 평균주가와 이동평균주가와의 차이(괴리)를 기초로 산출한 가격지표로서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주가로 나눈 ’이격도‘와 개념이 유사하다.
당일의 주가를 고가, 저가, 종가(시가는 배제)로 구분하여 단순평균으로 산출하고 이 단순평균가격을 당일의 평균주가로 간주한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홈트(HTS)에서 누구나 사용 가능한 지표이므로 계산방법까지는 알 필요는 없으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CCI'를 이용한 투자전략
매수시점은 0선을 기준으로 0선 위로의 상향돌파시 강세신호이고 매도시점은 0선을 기준으로 0선 아래로 하향돌파시 약세신호이다.
'CCI'값이 100을 넘으면 과도매수로 매도시점을 고려하여야하며 , -100 이하를 나타내면 과도매도으로 매수 시점을 저울질해야 한다.
‘CCI'를 다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아래 도표와 같습니다.
아래 실전챠트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위에 챠트에서 보듯이 ‘CCI'가 100을 넘었다고 해서 반드시 과매수로 간주하여 즉시 주가가 하락반전하고 반대로 ’CCI'가 -100 이하로 하락하여 과매도 구간이라고해서 주가가 즉시 상승반전 하는 것은 아니다.
챠트에서 보듯이 2000년 1월 중순으로 접어들면서 주가는 하락을 지속하고 있으나 ‘CCI'는 주가와는 반대로 추세역전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추세역전현상’을 보여준다면 보다 강력한 신호로 받아드릴 수 있는 것이다.
** 'RSI(Relative Strength Index)' 분석기법‘ **
(1) 개념:
'RSI'는 일정기간 동안 개별종목과 개별업종과의 주가변화율을 대비한 것과 개별업종과 종합지수의 주가변화율로 대비한 ‘종목별 상대강도지수’ 와 ‘업종별 상대강도지수’가 있다.
좀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을 때 얼마나 상승의 힘을 가지고 있는지, 반면 주가가 하락추세에 있을 때 얼마나 하락의 힘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이다. ‘ RSI'의 기간 설정을 검증한 결과, 14일 간의 움직임의 결과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기투자자인 경우는 기간설정을 10일로 설정하여 보다 단기적 대응에 유용하게 지표를 재설정해 줄 수 있다.
(2) 작성방법:
작성방법은 일정기간 동안 상승과 하락을 평균하여 상대강도로 나타내는 방법과 종목과 업종 간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들의 강도를 측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RSI'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 RSI = 14일 간 상승폭 합계/ 14일간 상승폭 합계 + 14일간 하락폭 합계 x 100(%)
(3) 특성:
(a)'RSI'의 값이 100에 접근하면 할수록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는 수준에 가까워지는 것이 되며, 반대로 0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더 이상 하락할 수 없는 수준까지 내려가고 있는 것이다.
(b)상승폭과 하락폭을 모두 평균값으로 구하므로 시장가격이 기간 중에 일시적으로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보이더라도 전체적인 분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c)최대 100에서 최소 0 사이에서 'RSI'값이 움직이며 100 이상 또는 (-)가 될 수 없다.
(d)'RSI'의 값이 100에 접근하면 할수록 절대적인 상승폭이 하락폭보다 월등하게 컸음을 의미한다.
(e)'RSI'의 값이 0에 접근하면 할수록 절대적인 하락폭이 상승폭보다 월등하게 컸음을 의미
(4) ‘RSI'의 분석방법
‘RSI' 가 75%(70~80%) 수준이면 상한선을 나타내는 경계신호로 강세장의 유지로 이선을 돌파할 때는 매도전략을 세워야한다. 반면 25%(20~30%) 수준이면 하한선을 나타내는 경계신호로 약세장이 지속되어 하향 돌파할 때는 매수고려 시점으로 하여야 한다.
‘RSI'가 50% 수준이라면 중립으로 본다.
예를 들어 현 주가가 저점에 비해 상당히 올랐는데 ‘RSI'가 그 시점에 57%를 나타낸다면 상한 경계선인 ’RSI' 75% 선까지는 추가 상승을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해석하여 주가는 추가적으로 18% 정도 더 상승 할 여력이 있는 것으로 해석을 해주면 된다. 따라서 이런 상태라면 주식을 더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는 신호로 받아 드리면 된다.
또한 주가지수가 평행하거나 상승추세임에도 불구하고 ‘RSI'가 하향추세이면 조만간에 하락을 예고하는 신호로 받아드리며, 주가지수가 평행하거나 하향추세인데도 ’RSI'가 상향추세이면 조만간 상승을 예고하는 신호로 받아드린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다시 한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실전챠트를 보면서 이해를 도우시길 바랍니다.
위의 챠트를 보면 2000년 2월말 주가는 하향추세에 있으나 반면 ‘RSI'는 상승하는 ’추세역전현상‘을 보여주는데 이 역시 강력 매수구간이다.
※ Divergence 와 Failure Swing
(1) Divergence:
'divergence'는 시장가격의 움직임과 ‘RSI'의 움직임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그 방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보통 ’RSI'의 값이 30%와 70% 사이에서 결정될 때 나타난다.
그러나 시장의 움직임이 과열되어 ‘RSI'의 값이 30% 이하로 결정되거나 70% 이상에서 결정될 경우, ’divergence'가 나타나면 이는 아주 강력하고 중요한 추세반전의 신호로 해석한다.
(2) Failure Swing:
이것은 ‘RSI'가 직전에 나타났던 최고점 또는 최저점 기록을 뚫고 넘어서지 못하고 진행방향을 바꾸어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상승국면에서 나타나는 top failure swing은 ‘RSI'의 값이 직전의 최고점을 갱신하여 계속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움직임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반면 하락국면에서 나타나는 bottom failure swing은 ‘RSI'의 값이 직전에 나타났던 최저치를 하향돌파하지 못하고 상승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RSI'의 값이 70% 이상이거나 30% 이하일 때 failure swing이 나타나면 시장가격의 추세반전이 임박했다는 강력신호로 간주한다.
※ ‘RSI' 지표는 상당히 신뢰도가 높은 보조지표 이므로 반듯이 숙지하여 실전에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주에도 또 다른 ‘보조지표분석’을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노스트라--